자동차 검사 예약 없이 받는 방법과 준비물, 비용(2025년)

공단 정비소에서 자동차 검사를 하려면, 예약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예약을 못해도 자동차 검사 예약 없이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방법과 당일 준비물과 비용, 시간 등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개정 사항이니 끝까지 읽어 보세요!


자동차 검사를 받는 검사소는 크게 공단 검사소와 민간(지정) 검사소가 있습니다. 먼저 공단 검사소는 예약이 필수 인데다가 전국에 많지 않아 예약 하는 게 쉽지 않은데요. 그럴 때 이용하기 좋은 곳이 바로 민간(지정) 검사소입니다. 어디서 자동차 검사를 받든지 효력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제 경험상 민간 검사소가 시간도 덜 걸리고, 예약 없이 당일에도 받을 수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자동차 검사 예약 없이 민간 정비소에서 받는 모습

물론 민간 검사소가 예약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대부분은 가능합니다. 정확하게는 가까운 민간 검사소를 조회하고, 전화해서 문의 하세요.


민간 검사소 조회 방법

방법은 전화, 온라인 조회가 있습니다. 전화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고객센터(1577-0990)으로 전화해서 문의 할 수 있고요.
온라인 조회는 자동차365와 사이버검사소에서 가능합니다.
그리고 조회를 할 때는 자신의 차량이 정기검사 대상인지 종합검사 대상인지를 따져서 해당 검사소를 가야합니다.


잠시 자동차 검사 종류를 설명 드리면, 정기 검사와 종합 검사로 나뉘고요. 정기검사는 모든 차량이 필수로 받는 검사이며, 기본 검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종합 검사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등 배출가스 규제 지역에 등록된 차량 중 일부 차량(경유)에 해당되고요.
2025년부터는 경유차량이라면 질소 산화물 검사가 필수입니다. 만약 자신의 차량이 어떤 검사 대상인지 모르겠다면 사이버검사소 검사 대상 조회에서 로그인하면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비용은 차량이나 검사 종류에 따라서 다른데, 2025년 기준 공단 검사소 비용은 표를 참고하세요:

🚗 차량 종류 🏁 정기검사 비용 🔥 종합검사 비용
경차 17,000원 48,000원
소형차 23,000원 54,000원
중형차 26,500원 56,000원
대형차 29,000원 65,000원

📌 *2025년 기준 공단 검사소 비용이며, 민간 검사소는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민간 검사소의 대략적 금액은 정기 검사 3만원, 종합 검사 5만원입니다. 검사 시간은 기다리는 시간 제외하고 15~30분 정도 걸립니다.


자동차 검사 준비물은 다음 같습니다.

  • 자동차 등록증
  • 자동차 보험 가입 증명서
  • 신분증 (대리인이 갈 경우 대리인 신분증)
  • 자동차 겸용 소화기 (5인차량 이상)


자동차 검사 기간 초과 시 과태료

자동차 검사 가능 기간과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은 다릅니다. 유효기간 만료일 후 31일 이내인 검사 가능 기간에 받으면 됩니다. 토요일, 국공휴일인 경우엔 익일까지 인정되고요.
과태료는 검사 가능 기간을 넘겨서 30일 이내라면 4만원이며, 그 이상이면 3일마다 2만원씩 추가 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초과 기간 과태료 금액
30일 이내 4만 원
31일~114일 기본 4만 원 + 3일마다 2만 원 추가 부과
예: 31일 초과 시 6만 원, 34일 초과 시 8만 원
115일 이상 최대 60만 원

*2025년 기준 과태료 부과 기준이며, 최신 정보는 자동차365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물론 민간 검사소는 당일에도 예약 없이 받을 수 있긴 하지만, 검사소 사정에 따라 안되거나 대기 시간이 길 수 있기 때문에 전화로 예약 하시고요.

2025년 부터는 비사업용 승용차의 최초 검사 유효기간이 기존 4년에서 연장 된 부분도 참고하세요. 그리고 자동차 검사 초과 과태료가 최대 60만원까지 나올 수 있으니 꼭 받으시고요.
이상 자동차 검사 예약 없이 받는 방법과 검사 준비물 및 비용, 시간, 2025년 개정 사항까지 정리해드렸습니다. 도움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