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쿠팡 파트너스, 네이버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수입 정지 방법

실업급여를 받고 있거나 예정자라면 쿠팡 파트너스,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수입을 정지해야만 합니다. 최악의 경우 수급 정지가 되기 때문인데요. 직접 문의한 실업급여 수급 시 쿠팡 파트너스, 네이버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수입 정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먼저 실업급여 수급 정지의 기준을 알아야 합니다. 일회성 아르바이트는 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에도 미리 담당자에게 물어보는 게 안전합니다.
그리고 그만큼 금액 감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명확한 방법은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은 일을 전혀 하지 않고, 취업에만 전념하는 겁니다.
사실 인터넷 부업이 많은 요즘 시대와 맞지 않긴 하죠.

다른 분들 후기 보면 고용센터 담당자에 따라서 감면하기도 하고 그냥 넘어가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두 달 이상 연속해서 같은 곳에서 돈이 들어오는 건 위험합니다. ‘급여’로 간주되어 부정수급 조사가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수입이 있는데 나라에서 실업급여를 줄 이유가 없는 거죠.
실업 급여의 본질은 원치 않는 퇴사 상태로 취업을 하려고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실업 상태라서 주는 것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쿠팡 파트너스, 네이버 애드 포스트, 구글 애드센스 수입 정지하는 방법을 다뤄볼게요.


일단 지속적으로 쿠팡 파트너스에서 돈이 들어오면 안 되기 때문에 계정 탈퇴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쿠팡 파트너스 수입은 두 달 후에 입금이 된다는 거죠. 즉, 8월에 일한 것이 10월 15일에 정산된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자칫 탈퇴 후에도 실업급여 수급 기간 안에 2번이나 입금될 수 있습니다. 저도 그랬는데요.

고용 지원센터 담당자에게 확인해 보니 실업급여 수급 기간에 일한 게 아니라면 상관없다고 하였습니다.
돈은 추후에 들어와도 상관이 없다는 거죠.

하지만 인터넷 후기들을 찾아보면 담당자에 따라 증빙을 요구하기도 하기도 하고, 실업급여 지급 정지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쿠팡 파트너스를 탈퇴 할 때 정산금을 받지 않겠다를 선택하고 탈퇴하라고 말이죠.

하지만, 저는 그건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회사에서 짤린 것도 억울한데, 퇴사전에 일한 것을 추후에 정산 받는 것 뿐이니까요.
다행히 담당자도 수급기간에 일한게 아니면 상관없다 했습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입 정지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자신의 네이버 블로그의 관리. 통계로 들어가서 애드포스트 관리하기로 들어가서 내 정보/ 회원 정보 변경에서 수입지급 설정을 최대한 큰 금액으로 설정합니다.

1000만 원도 좋죠. 즉, 해당 금액이 되기 전에는 자동 지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입금될 일이 없습니다.
거기다가 더 안전하게 하단에 ‘수입을 자동으로 지급받겠습니다’ 체크 해지를 해 주세요.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입 지급 설정 화면


네이버 애드포스트 정산일은 다음 달 25일인데요.
설정은 변경 후 바로 적용이 되지만, 이미 네이버 측으로부터 수입이 지급된다는 이메일을 받은 경우 경우라면, 설정을 변경해도 다음 달부터 적용이 됩니다.

그런 경우라면 입금을 막을 수 없습니다. 방법이 하나 있는데 지급 계좌 은행으로 가서 “입금 정지”를 신청하는 겁니다.
신청한 즉시 바로 해당 통장에는 어떤 돈도 입금될 수 없습니다.

네이버는 1번 입금 시도를 해서 안되면 추가 입금 시도를 하지 않고 자동 이월됩니다. 그리고 다음 달부턴 바뀐 설정대로 지급돼는 거죠.
수입 지급에 실패했다는 이메일을 받고 입금 정지 해지를 하면 되는데 직접 은행에 방문해야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입 정체가 가장 편하고 간단합니다.
애드센스 사이트로 들어가 왼쪽 메뉴 지급/ 결제 정보로 들어가 설정/ 설정 관리를 눌러줍니다.
결제 계정에 있는 지급 일정 옆에 연필 아이콘을 클릭하여 지급 기준액을 많이 올려놓거나 지급 일정 예약을 실업급여 수급이 끝나는 날 이후로 미루면 됩니다.
참고로 지급 일정은 최대 1년까지 미룰 수 있고요.


다시 핵심을 정리하면

실업급여 수급 기간 중 쿠팡 파트너스, 네이버 애드 포스트, 애드센스 수입 정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실업급여 받는 동안 어떤 수입이나 부 수입도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그런 일이 생겼거나 이전 소득이 들어올 일이 있다면 관할 고용 지원센터 담당자에게 고지하고 문의해야 합니다.

아직 실업급여를 신청하지 않았거나 신청 후라면 최대한 빨리 각 사이트마다 설정을 바꾸세요. 그리고 역시 실업급여가 종료되기 전에 최대한 빨리 지급받을 수 있도록 설정 변경을 하세요.